✅ 도시개발계획 자료 찾는 방법: 숨겨진 계획서를 보는 사람만 안다
🟡 도시개발계획은 지역의 미래를 예측하고 투자와 거주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.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**"도시개발계획은 어디서,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"**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. 대부분은 뉴스나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소문처럼 접하고 끝내지만, 실제 개발계획 문서들은 정부 공식 사이트나 지자체 행정 자료실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. 문제는 이 정보들이 매우 흩어져 있고, 전문가가 아니면 찾는 방법조차 복잡하다는 점이다. 이 글에서는 전국 어디든 적용 가능한 도시개발계획 자료 찾는 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소개하고, 어떤 계획이 진짜 실행 가능성이 높은지도 함께 알려준다.
✅ Step 1. 기본 도시계획 자료는 ‘UPIS’에서 확인
🔵 국토교통부 도시계획정보서비스 (UPIS)
- 🔗 http://www.upis.go.kr
- 제공 정보:
- 용도지역·지구·구역
- 지구단위계획, 도시관리계획
- 개발제한구역, 도시개발사업지구
- 활용법:
- 메인화면 → "도시계획도 열람" 클릭
- 지역명(예: 대구 중구)을 입력
- 토지 별로 계획 정보 상세 조회 가능
📌 토지단위로 용도·계획·고도제한 등까지 전부 확인 가능
✅ Step 2. 각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에서 ‘도시기본계획’ 자료 찾기
🔵 대구시청, 부산시청, 군위군청 등 지자체 홈페이지
- 찾는 방법:
- 홈페이지 접속 → 검색창에 “도시기본계획” 또는 “2030 도시계획” 입력
- PDF, PPT, 보도자료 등으로 제공됨
- ‘도시관리계획 결정도서’도 종종 공개
예시:
📌 2030, 2040 기본계획은 시 전체의 개발 방향을 알 수 있어
📌 특히 신도시 예정지, 재개발 후보지, 도심축 개편 방향 등이 포함됨
✅ Step 3. ‘국가공간정보포털’에서 상세 개발도 확인
🔵 국가공간정보포털 (NSDI)
- 🔗 https://www.nsdi.go.kr
- 제공 정보:
- 도시계획도
- 개발제한구역 현황
- 산업단지 개발 위치
- 공공개발 사업 데이터
활용법:
- 메뉴 → “공간정보 서비스”
- “도시계획도면 서비스” → 주소 또는 지번 검색
- 개발예정지 여부 확인 가능
📌 신도시 위치, 토지용도 변경 이력 등도 추적 가능